국회부산도서관 국회부산도서관

검색 아이콘
홈
  • 검색
    검색 아이콘
닫기

책의 조각들

사서 Pick!
  • 산을 좋아하다 보면 사찰을 좋아하게 된다. 절은 산에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절에는 산수가 있고 출가한 산사람이 있다. 선조의 문화와 사상이 있고, 깊고 너른 불교의 가르침이 있다. 초 단위로 빠르게 변하는 한국 사회이지만, 우리에겐 천 년 넘게 지속해온 문화유산이 있다. 바로 불교이다. (p. 6)

  • 선사의 매력은 어디에 있는가? 단순함에 있다. 군더더기 없는 단순함이 이야기를 나누는 상대에게 어떤 때는 편안함을 주다가 또 어떤 때는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한다. (p. 294)

  • 금강저(金剛杵)는 견고함과 예리함 그리고 밝음을 갖춘 지혜의 칼(절굿공이)이다. 절 입구의 불이문에 금강저를 새긴 까닭은 지혜라는 예리한 칼로 찰거머리처럼 붙어 있는 번뇌를 사정없이 잘라내라는 뜻이리라. (p. 363)

한국사찰 힐링 휴식
추천의 글 by 사서 마루

산과 사찰은 잠시라도 모든 것을 내려놓고 머무를 수 있는 곳, 걱정과 근심을 비워낼 수 있는 곳, 비워내고 다시 ‘나’를 찾을 수 있는 곳으로 현대인의 중요한 쉼터이자 수행처다. 문화콘텐츠학과 교수이자 동양학자인 저자는 북한산의 승가사부터 부산 기장의 묘관음사까지 아름다운 한국사찰의 역사와 문화, 숨겨진 이야기를 들려준다. 자연 속 사찰의 생생한 사진과 함께 책을 읽으면 그곳으로 가서 직접 보고 체험해보고 싶어진다. 사찰 여행을 계획 중이거나 한국의 불교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책정보
상세보기
책제목
조용헌의 산사로 가는 길
저자
조용헌
발행사항
서울 :시공사,2023
목차

저자 서문 _ 산사로 들어서며

· 서울 북한산 승가사︱『동국여지승람』의 5대 명산 북한산의 기운이 깃든 기도 도량
북한산 보현산신각︱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작동되는 기도처
· 하동 지리산 칠불사︱49일간 온기가 남았던 전설의 아자방과 개운 조사의 금강굴 이야기
지리산 산천재︱지리산 천왕봉의 정기를 머금은 마음의 쉼터
· 서산 연암산 천장사︱경허 선사의 발자취를 따라, 번뇌를 버리고 깨달음을 구하다
· 진안 마이산 고금당︱경허 선사와 녹두장군 전봉준의 애틋한 사연
· 평창 오대산 상원사︱앉은 채로 육신을 벗은 한암 선사의 발자취를 따라
한암의 제자들︱일본 침몰 예언한 탄허 스님 이야기
· 부안 변산 불사의방︱변산의 아득한 절벽 위에서 발원한 한국의 미륵 신앙
· 김제 모악산 금산사︱역대 왕조의 흥망성쇠와 함께해온 한국 미륵 신앙의 본거지
· 고창 선운산 선운사︱도솔암 마애불 배꼽에서 꺼낸 비결과 비운의 동학혁명 이야기
· 익산 미륵산 미륵사︱용과 부처의 극적인 융합을 이뤄낸 한국 불교 이야기
· 미륵산 사자사︱백제 무왕과 선화 공주의 애틋한 불심
· 정읍 두승산 유선사︱백제 유민의 원한을 달래고 국민 통합을 염원한 의상 대사 이야기
유선사 산신각︱호남을 지키는 산신과 호랑이 이야기 198
· 김제 승가산 흥복사︱고구려 승려인 보덕 화상이 백제로 망명해 창건한 사연 깊은 절
· 완주 서방산 봉서사︱민중의 삶 속으로 뛰어든 진묵 대사의 이유 있는 선택
· 순창 영구산 구암사︱개화기 선각자들을 키워낸 교학의 중심지, 구암사 이야기
· 김천 불령산 청암사︱도선 국사를 덩실덩실 춤추게 한 천하의 명당
· 완주 대둔산 안심사︱날카로운 산세를 가진 산에는 힘이 센 산신이 산다
· 완주 수봉산 홍련암︱보면 볼수록 빠져드는 법력 높은 선승의 매력
도봉산 망월사︱칼 대신 육두문자의 초식을 휘두른 춘성 스님
· 김제 망해사와 변산 월명암︱지는 노을에 번뇌를 던지니 바람도 불경이 되는 곳
· 기장 임랑리 묘관음사︱파도 소리에 몸을 맡겨 일체 잡념을 버리는 관음 수행처
지리산 유가대︱물소리와 더불어 깨우침을 얻는 곳
· 곡성 동리산 태안사︱발아래로 흘러가는 냇물을 바라보다 깨달음을 얻다

이런 책은 어떠신가요?

회원가입 시 국회도서관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