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부산도서관 국회부산도서관

검색 아이콘
홈
  • 검색
    검색 아이콘
닫기

책의 조각들

사서 Pick!
  • 경제'는 본래 '세상을 올바르게 해서 백성을 구하다'라는 계몽적인 성격을 지닌 말이다. 홍만선은 무지한 백성을 올바르게 가르쳐서 세상을 잘 살게 하겠다는 뜻으로 이 책을 지었다. 그렇다면 '경제'는 왜 이렇게 뜻이 달라졌을까? 바로 일본인들이 서구의 용어를 옮기면서 '이코노미'를 '경제'로 번역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 단어가 내포하던 전통적인 유교의 개념들은 없어지고, 서양 언어의 개념들만 남게 되었다. 세상이 바뀌면 말도 따라 바뀐다. (p. 21)

  • 재미','맛','멋'이 모두 같은 뜻이었다는 사실은 인간의 삶이 본디 그리 복잡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결국 사람에게는 먹는 것이 우선이고, 또 잘 먹으려면 맛이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 그것이 풍족해지면 놀이나 예술로 발전해 나간다. 어찌 보면 재미와 맛과 멋이 우리 인생과 행복의 거의 전부일 수 있다. (p. 101)

  • 말이란 우리의 생각을 반영하는 도구이다. 그래서 우리가 어떤 관념을 가지기 전에는 그에 해당하는 말도 없는 법이다. 그렇기에 서양의 과학을 받아들이고 세계관이 바뀌면서 예전의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개념이나 관념들이 생겨나자 그에 따라 새로운 말을 만들어낼 필요가 생겨났다. (p. 256)

어원 한국어 어휘력
추천의 글 by 사서 망고

우리말에는 한자어에서 유래한 말이 많다. 그중에는 '심심한 사과'처럼 문해력 논란을 불러 일으키는 표현도 있다. 작가는 이 표현에 사용된 심(甚)이라는 한자어의 기원이 글자가 아랫사람이 올리는 밥을 받아먹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는 곧 뇌물이라는 의미로 '심하다'라는 표현으로 발전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렇게 말에 숨어있는 의미를 통해 우리말에 대한 깊이와 재미를 느끼게 해줄 뿐 아니라, 단어의 뜻과 쓰임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책은 우리말에 남은 흔적을 소개하며, 단어 하나하나에 담긴 사연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작가가 들려주는 일상 속 우리말에 담긴 오래된 시간의 흔적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여다보고 느껴보기 바란다.

책정보
상세보기
책제목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 :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
저자
장인용
발행사항
서울 : 그래도봄,2025
목차

추천의 글
책을 펴내며

제1부 ㆍ 뜻이 바뀌어 새로이 쓰이는 말
옛날 경제와 요즘 경제
사회와 종교 사이
아내, 마누라, 집사람, 부인
아버지-아저씨, 어머니-아주머니
형, 언니, 누나, 동생, 동기
서방, 도령, 올케
깡통과 깡패
과거, 현재, 미래
‘아래 하’를 넣어 높이는 말
외국 국가 이름과 한자 표기
‘민주, 국회, 법원, 통상’과 같은 말

제2부 ㆍ 뜻이 역전되는 말
숙맥, 얌체, 분수, 주책
잘못 읽는 사자성어 ①: 주야장천, 일사불란, 삼수갑산
잘못 읽는 사자성어 ②: 풍비박산, 옥석구분, 동고동락
‘~없다’의 조어법 ①: 한 단어로 굳어진 것들
‘~없다’의 조어법 ②: 한 단어로 인정받지 못한 이유
‘~없다’의 조어법 ③: 원래 의미가 변하는 경우
우연히와 우연찮게
재미와 맛과 멋

제3부 ㆍ 유래를 알면 더 재밌는 말
닭과 꿩을 닮은 식물들
배다리, 널다리, 섶다리
물고기 이름 ①: 오징어, 고등어
물고기 이름 ②: 붕어, 잉어, 상어
물고기 이름 ③: 조기와 굴비, 명태와 북어
꽃, 꼬치, 꽃게, 고드름
김치, 짠지, 깍두기
상추, 시금치, 가지, 참외, 호박
과일 이름
나무 이름
색깔 이름
사이다, 웨하스, 메리야스

제4부 ㆍ 한자로 바꾸거나 구별하여 오해를 부르는 말
모래내와 가재골, 사천교와 가좌동
그 사과는 심심하지 않다
한자 동음이의어 ①: 감수와 개정
한자 동음이의어 ②: 지명과 연패
형벌에서 유래한 말
‘물’이 앞에 들어가는 말
음을 다르게 읽는 한자어
가타부타, 알록달록, 갈팡질팡

제5부 ㆍ 우리말이나 진배없는 말
여하, 하여, 역시, 물론
도대체와 대관절
만약과 가령
가방과 구두
냄비
순대와 사돈
그대가 그녀에게
한자인지 아닌지 긴가민가한 것 ①: 시시하다, 쓸쓸하다
한자인지 아닌지 긴가민가한 것 ②: 으레, 나중, 잠깐, 조용히
한자어 같지만 우리말인 말
한자와 우리말이 섞인 어휘

제6부 ㆍ 공부가 쉬워지는 말
마름모꼴, 부채꼴
이선란의 수학 용어
우주와 지구, 태양의 탄생
국어와 과학
‘역사, 철학, 음악, 미술’ 두 글자 본능
물리학과 화학, 의학의 용어
네덜란드표 번역어
스포츠 용어

제7부 ㆍ 종교에서 유래한 말
다반사와 이판사판
현관과 탈락
야단법석, 아수라장, 아비규환, 나락
불교에서 유래한 일상 용어 ①: 명사들
불교에서 유래한 일상 용어 ②: 생각지도 못했던 불교 용어
불교에서 유래한 일상 용어 ③: 알게 모르게 스며든 말
신부, 사제, 목사, 장로
기독교에서 빌려 쓴 불교 용어

찾아보기

이런 책은 어떠신가요?

회원가입 시 국회도서관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