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부산도서관 국회부산도서관

검색 아이콘
홈
  • 검색
    검색 아이콘
닫기

책의 조각들

사서 Pick!
  • 민통선 안에만 8~10만 마리의 기러기가 찾아옵니다. 철원평야를 찾는 기러기가 워낙 많다 보니 흔한 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기러기는 전 세계에 50만 마리밖에 남지 않은 희귀종입니다. (p. 34)

  • 천연기념물 제205호인 저어새는 강화도 인근 해상 비무장지대를 찾아 알을 낳고 번식합니다.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된 강화도 비무장지대가 멸종위기에 처한 저어새에게 희망의 땅이 된 것입니다. (p. 92)

  • 민통선 곳곳에 펼쳐진 드넓은 평야에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가늠해 볼 중요한 시험대가 있습니다. 바로 ‘둠벙’이라 부르는 물웅덩이인데요. 사람의 시각으로 보면 작은 물웅덩이에 불과합니다만, 자연의 창으로 보면 이 땅에서 사라져 가는 작은 물고기와 수서곤충을 위한 특별한 생명의 공간입니다. (p. 164)

비무장지대 생태계 천연기념물
추천의 글 by 사서 초록

비무장지대(DMZ)의 지뢰 경고 철책 위로 딱새가 날아들고, 낡은 탱크 사이로 천연기념물 산양이 모습을 드러낸다. DMZ의 생태계가 스스로 복원되는 ‘재야생화’ 과정을 거치면서, 이곳은 다양한 생명체들의 안전한 서식처로 자리 잡았다. 70년 넘게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으면서 생태계 보존에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국토 면적의 1.6%에 불과한 DMZ에는 희귀 동식물 116종을 포함해 총 5,800여 종의 생명체가 서식 중이다. 생태학자들이 DMZ를 ‘한반도의 모든 생태 시스템이 집약된 공간’이라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무장지대의 생태적 가치를 오랫동안 취재해 온 저자는 이 땅이 얼마나 소중한 자연생태유산인지 알리고자 한다. 사라져가는 생명들을 기억하고 그 터전을 지키는 일, 그 책임을 함께 나누는 작은 시작이 되길 바래본다.

책정보
상세보기
책제목
분단선에서 생명선으로 :소중한 동식물의 마지막 피난처 DMZ
저자
글·사진: 전영재
발행사항
[서울] :목수책방, 2025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새들이 먼저 통일을 이룬 세상
임진강과 한강하구의 텃새들
민통선의 귀한 겨울 손님
| 기러기 | 두루미와 재두루미 | 한반도 DMZ를 찾아오는 일곱 종의 두루미 |
| 두루미의 먼 친척, 천연기념물 느시 | 개리 |
상서롭고 아름다운 새 두루미의 순애보
| 두루미의 다른 이름, 학 | 부부 사랑이 남다른 새 |
DMZ를 호령하는 맹금류
| 독수리 | 수리부엉이 | 올빼미 |
솜씨 없는 사냥꾼, 저어새
금슬 좋은 부부와 검은머리물떼새
부리로 이어지는 사랑, 까막딱따구리
백두산에서 한탄강까지, 통일의 상징 호사비오리
| 백두산 호사비오리 번식지를 찾아 나선 야생생태연구가 박웅 |
멸종위기종을 되살리자
| 40년 만에 되살아난 따오기 | 북한의 두루미 보호 |

2장 비무장지대에 흐르는 생명의 물
철책도 막을 수 없는 자연의 흐름
멸종위기종 광릉요강꽃 국내 최대 군락지 탄생의 비밀
원시적인 자연 하천의 모습을 간직한 천연기념물의 안식처 임진강 상류
야생동식물의 피난처이자 자연의 콩팥, 습지
민통선의 수서곤충
| 세계적인 희귀종 연천군 은대리 물거미 |
남북을 자유롭게 오가는 북한강 최상류 지역의 귀한 생물들
| 수몰 위기에 놓인 강원특별자치도 양구 수입천의 소중한 친구들 |
| 힘차게 강물을 거슬러 오르는 열목어 | 민물고기의 표범 황금빛 황쏘가리 |
| 알래스카에서 고향으로 돌아오는 연어 |
남북을 흐르는 강 위로 비행하는 DMZ의 여름 철새들
| ‘불새’라 불리는 호반새 | 희망의 상징 파랑새 |
우리에게는 분단선, 동물에게는 보호선
| 수달이 살아야 하천 생태계도 산다 | 얼마 남지 않은 물범의 낙원, 백령도 |

3장 지뢰밭에서 살아가는 희귀한 동식물들
희귀식물과 야생동물의 낙원, 향로봉
죽음의 땅에서 생명을 이어 가는 야생동물들
| 멧돼지, 산토끼, 고슴도치, 너구리, 족제비 | 다람쥐와 하늘다람쥐 |
| 신비의 팔색조와 꼬리가 긴 긴꼬리딱새 |
사라진, 사라질 수도 있는 DMZ의 귀한 동물들
| 호랑이 | 반달가슴곰 | 알고 보면 한국과 중국에만 있는 귀한 동물 고라니 |
살아 있는 화석 동물, 산양
| 멸종위기에 처한 산양을 복원하자 |
우리나라에 하나뿐인 비무장지대의 고층습원 용늪
| 용늪의 희귀식물 | 훼손된 용늪의 복원

4장 함께 만들어 가는 희망과 생명의 땅, DMZ
역사·평화교육의 무대가 될 비무장지대의 유적
귀중한 생태관광 자원으로 부상한 비무장지대
| DMZ 평화의 길 | 양구 두타연 자연 생태 트레킹 길 |
이념 대립을 떠나 남북이 함께해야 할 일
| 야생동물을 위한 생태 통로를 만들자 |
| 감염병에는 경계가 없다 |
독일 그뤼네스반트에서 배운다
DMZ, 개발과 보전 사이에서

부록 한눈에 보는 비무장지대 (그림지도)

이런 책은 어떠신가요?

회원가입 시 국회도서관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닫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