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더 놀라운 미래를 상상하며_박성희
ㆍ 대한민국이라는 에니그마(enigma)
ㆍ 한국미래학회의 시작
ㆍ 4인의 현자들이 말하는 대한민국의 발전: 최정호·김진현·김경동·오명
ㆍ 다시 스위스 가는 길에서
제1장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로 나아간다_최정호
ㆍ 상상의 힘에 대하여, 역사를 바꾸는 생각의 힘
ㆍ 1960년대: 전 지구적인 ‘대여행의 시대’
ㆍ 동과 서, 제3세계를 휩쓴 ‘문화 대혁명’
ㆍ 4·19 혁명과 대공위(大空位)의 시대
ㆍ 베를린과 버클리의 스튜던트 파워, 파리의 68혁명
ㆍ 단절의 시대와 미래에의 관심
ㆍ 5·16 쿠데타, 보나파르티즘의 등장
ㆍ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이한빈과의 해후
ㆍ 일본의 과거 망각 미래 지향, 독일의 과거 지향 미래 망각
ㆍ 한국미래학회의 정체성
ㆍ 미래의 변수(變數)와 상수(常數): ‘한국인의 삶’ 시리즈
ㆍ 청년에게 주는 메시지: 전체를 봐라,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나
ㆍ ‘서기 2000년’의 의미
ㆍ 한반도 천 년의 흐름을 되돌린다
ㆍ 독립! 19세기 선각자들의 위업
제2장 청년이여, 근본으로 가라_김진현
ㆍ 대한민국 성공의 아나토미
ㆍ 이동성·개방성·대담성, 그리고 절대상황의 경험
ㆍ 나는 다섯 개 국가의 시민이었다
ㆍ 강제된 해양화의 시작과 미국의 영향
ㆍ 대한민국 독재의 한계
ㆍ 통시적·통장적으로 보고 실체를 직시해야
ㆍ 성공했으나 즐길 여유가 없는 대한민국
ㆍ 그래도 밝은 미래: 대한민국은 성공할 것
ㆍ 젊은이들이여, 기초로, 근본으로, 낮은 곳으로 가라
ㆍ 젊은이들에게 거는 기대: 새 정치, 새 교육의 시대
ㆍ 이념 갈등의 뿌리, 한국전쟁
ㆍ 친일은 재조명되어야
ㆍ 내가 회고록을 쓰는 이유
ㆍ 법과 제도의 발전을 위해 극복해야 할 우리 사회 이중성
ㆍ 건국 이후 최대의 위기: 21세기 지구촌 새 문명 개벽의 선구자 되기를
제3장 우리의 눈으로 대한민국을 본다_김경동
ㆍ 미래 세대의 행복을 위하여
ㆍ 미래를 강의하며 한국 사회를 연구하다
ㆍ 크게 멀리 보는 눈으로 미래를 보자
ㆍ 유교 연구로 시작해 한국 사회 근대화 본격 연구
ㆍ 사회 개발과 사회 발전은 다르다
ㆍ 개발의 시대를 살아온 지식인의 기여
ㆍ 동양과 서양의 근대화를 해석
ㆍ 한국인의 우수성, 그리고 한, 체면, 명분
ㆍ 문명사적 관점에서 미래를 바라봐야
ㆍ 미래를 위한 인간주의적 성찰과 선비문화
제4장 대한민국을 확 바꾸다_오명
ㆍ 지금이 우리나라 반만년 역사의 황금기
ㆍ IT
IT가 왜 중요한가 |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한민국 IT | 생애 최고의 스승을 만나다 | 전자공업 육성 장기 정책 | 반도체는 산업의 쌀 | 한국 정보화를 리드한 체신부 | 리더는 큰 그림을 그리며 모든 직원을 참여시킨다 | 조직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고 업무를 과감히 위임하라 | 리더는 바위 같아야 한다 |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는 앞서가자 | IT 강국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 컴퓨터 국산화 | 통신 운영 체제의 재정립 | 한국전기통신공사 설립 | 데이콤 설립 | 국운이 달린 전전자교환기(TDX) 개발 | TDX개발단 | TDX품질보증단과 TDX사업단 | 반도체 공동 개발 | 서울대학교에 반도체 공동 연구소를 만들다 | 정보 복지 사회 건설 정책 | 세계 최초로 전국에 광케이블을 깔다 | 기적의 행정전산망 | 88 서울 올림픽 정보통신 서비스는 금메달 | 대전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다
ㆍ 교통혁명
세계 최고의 공항을 만들다 | 세계 최고의 철도를 만들다
ㆍ 미래 기술을 선점하라
우주 개발 원년을 선포하다: 우주인과 나로호 | 인류 에너지 문제의 근본적 해결: ITER 프로젝트 | 세계 생물자원 확보
ㆍ 남은 이야기
못다 이룬 꿈, 세계 자유 도시 | 명예의 전당에 오르다: SUNY Stony Brook | 나는 참으로 행복한 사람
이한빈 이야기(김형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