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의 말
1장 서론
이 책의 배경과 구조
2장 전환에 대한 접근 방식
여섯 가지 전환 모델
거대이론
경험적 분석
다층적 관점
정치적 분석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결론
3장 모빌리티 전환에 대한 모빌리티 접근 방식
모빌리티 연구의 필요성
움직임
의미
실천
권력
정의
결론
4장 메커니즘, 행위자, 구조
전환의 뒤얽힘
정부 간 국제기관
UN환경계획
유럽연합
전환의 뒤얽힌 메커니즘
5장 정책 아상블라주 :‘위기’ 속의 다중성, 시간성, 행위자
아상블라주 접근 방식
저탄소 모빌리티 정책 아상블라주
다양성과 패치워크 전환
위기의 시간성
행위자: 주체성과 장소만들기
결론: ‘위기’의 시간 속 정책 아상블라주
6장 자유주의적 논리와 라이프스타일
신자유주의 전환 정책
이동적 라이프스타일과 개인 우선주의
측정가능성과 계산가능성
상품으로서의 모빌리티
결론
7장 공유화 모빌리티 전환
모빌리티 정치학과 모빌리티 정의
경쟁적 결핍과 긴축 모빌리티
공유화 모빌리티
모빌리티 전환의 새로운 정치학을 향해
모빌리티 동원하기: 자전거 타기를 통한 공동체 연결 강화 289
칠레 산티아고의 변혁적 모빌리티 거버넌스
결론
8장 결론: 정의로운 모빌리티 전환을 향해
코로나19, 저탄소 전환과 모빌리티 정의
논의의 요약
정책 시론
전환 정책의 유형
마무리
■ 미주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