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수치심 없는 사회의 초상
1장. 수치심이란 무엇인가
시선이 없으면 수치심도 없다
수치심은 보편 감정이다
수치심은 강력한 사회적 통제 장치다
수치심은 하나의 감정이 아니다
수치심과 죄책감 ? 시선과 양심의 교차점
2장. 수치심이 없는 풍경들
뻔뻔함이 미덕이 된 사회
갑질의 끝, 죽음으로 내몰린 교사들
침묵의 고속도로 ? 양평고속도로 변경 미수 사건
새만금 잼버리 ? 국가의 무능이 드러난 순간
‘50억 클럽’ - 법조 권력의 부패와 수치심 실종
3장. 수치심은 어떻게 붕괴되었나
권력과 수치심의 이혼
이명박 정권 ? 통치의 효율 앞에 사라진 수치심
문재인 정권 ? 선한 얼굴 뒤에 숨은 위선과 내로남불
윤석열 정권 ? 수치심의 총체적 붕괴
수치심 이후,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4장. 수치심은 왜 무너졌는가 ? 진영논리라는 구조적 병리
진영논리, 수치심을 마비시키다
진영논리는 본능인가 ? 최소 조건 실험
진영논리의 허구 - 진보와 보수의 실상
진보와 보수, 잘못된 이분법
5장. 수치심을 사라지게 한 부수적 요인들
물질 우선주의와 성공 지상주의
왜 나만 갖고 그래? - 허위 일치 효과
나르시시스트의 급증과 수치심의 실종
현실을 직시하지 않는 정부, 나르시시스트 정권
6장. 우리들을 부끄럽게 만든 법조계
법복 뒤에 숨은 권력 ? 판사들의 몰염치
부끄러움을 잃은 권력 ? 검찰
정의의 파수꾼은 어디에 ? 변호사 사회의 이중성
법조인들은 왜 수치심을 잃었는가
AI 판사 시대는 가능한가
7장. 사회 도처의 몰염치
정치권의 몰염치
선관위는 가족회사다 ? 공무원 사회의 채용 비리
언론과 지식인의 몰염치
주식시장의 몰염치 ? 유상증자
일상 속의 몰염치
플랫폼 권력과 감정의 착취 ? 디지털 공간의 몰염치
젠더 갈등과 피해자 되기 경쟁 ? 수치심의 전복
신의 이름으로 저지르는 몰염치 ? 종교계의 타락
8장. 디지털 시대의 몰염치
유튜브 알고리즘과 조회수의 윤리
인플루언서의 도덕 불감증
사이버 폭력, 책임 없는 가해
디지털 공간은 수치심을 되살릴 수 있는가
9장. 다시 수치심을 생각한다
수치심은 인간다움의 최후의 보루
몰염치는 어떻게 우리를 무너뜨렸는가
부끄러움을 회복하는 작은 방법들
우리 모두가 ‘시선’이 되어야 한다
다시 수치심을 말하다
에필로그 | 잃어버린 부끄러움을 다시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