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정보의 진실게임. 가짜뉴스와 법의 대응
기간: 2025-07-01 ~ 2025-07-31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한 손에 쥐고 하루에도 수백 개의 뉴스, 영상, 게시물을 스치듯 접하는 시대. 하지만 그중 얼마나 ‘진짜’일까요? 가짜뉴스는 더이상 단순한 오보나 해프닝이 아닙니다. 사회적 불신을 키우고,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며, 심지어는 국가의 정책과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기도 합니다. 특정한 이익을 위해 조작된 정보는 진실을 흐리고, 시민의 올바른 판단을 가로막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대응을 강화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이를 처벌하거나 규제하기 위한 입법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가짜뉴스를 직접적으로 처벌하는 특별법은 없지만,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명예훼손, 업무방해, 선거법 위반 등으로 간접적으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규제가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반대하는 목소리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진실’과 ‘허위’ 사이의 전쟁터 한가운데에 서 있습니다. 7월의 의회정보 큐레이션은 법과 언론, 자유, 민주주의 사이의 복잡한 교차점에서 어떻게 가짜뉴스가 탄생하고, 왜 사람들은 가짜뉴스를 믿게 되는지 알아봅니다. 그리고 가짜뉴스의 심각성, 그것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혼란, 그리고 이를 막기 위한 국내외의 법적·사회적 노력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짜뉴스를 막는 것은 단순히 ‘거짓’을 처벌하는 것을 넘어, 진실을 향한 사회의 의지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허위의 정보와 말은 법의 이름으로 멈춰 세워야 합니다. 또한, 법이 작동하기 이전에 균형잡힌 진실의 세상을 바래봅니다.